앞서 #8 전송선로란? 임피던스 매칭? :: 아날로그 회로 설계 (tistory.com)에서 전송선로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반사계수와 투과계수를 임피던스 매칭과 연관지어 설명하였습니다. 요약하면 반사계수가 0이면 임피던스 매칭이 되어 최대 전력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항상 임피던스 매칭을 하는게 좋은걸까요? 전력 관점에서 봤을 때는 맞지만 전압 관점에서 보면 반사계수가 0인 것 보다 1인게 더 좋습니다. 반사계수가 0일 때, 투과계수는 1이지만 반사계수가 1일 때, 투과계수는 2가 되니까요. 즉, 부하저항이 무한대인 케이스에 해당하는데 이 때 전압은 최대가 되지만 무한대의 임피던스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는 없죠. 따라서 전류는 0이 됩니다. 전력은 V·I 이므로 전력 또한 0이 되겠죠. 그러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임피던스 매칭이 된 경우와 매칭이 되지 않은 경우 최종 부하단에서 얻게 되는 전압이 얼마가 될지 비교해 봅시다.
그림 1은 소스 저항과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그리고 부하 저항이 모두 매칭이 된 경우 입니다. 이런 경우 A 노드에 걸리는 전압은 아래 수식 1)에 의해 결정 됩니다.
수식 1)
VS=2V 라면, A노드에 걸리는 전압 VA는 1V가 됩니다. 그리고 수식 2)의 반사계수 r 공식과 수식 3) 투과계수 공식을 이용하면 투과계수는 1이 되어 B 노드의 전압 역시 1V가 됩니다. 즉, 전송선로와 부하저항이 임피던스 매칭 되었기 때문에 그대로 1V가 출력되었습니다.
수식 2)
수식 3)
자, 이제 그림 2와 같이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Z01를 100Ω 으로 변경해 봅니다.
VS는 여전히 2V이고, 수식 1), 2), 3)에 의해 A 노드에서의 전압 VA=1.33V, B 노드에서의 전압 VB=0.88V가 됩니다. 이왕하는거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보다 부하 저항이 큰 경우도 한번 봅니다.
역시 수식 1), 2), 3)에 의해 A 노드에서의 전압 VA=1V, B 노드에서의 전압 VB=1.333V가 됩니다. 자 어떤가요? 위 3가지 경우를 살펴보면 전송선로 보다 부하저항이 더 클 때 VB의 전압이 가장 크게 나옵니다. 이렇듯 전압의 관점에서 본다면 임피던스 매칭이 되었을 때 보다 부하저항이 큰 경우가 더 유리하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전송선로보다 부하저항이 작은 경우 VB는 0.5V 보다 작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쓰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제 위 내용을 전류의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전류일 때, 투과계수 공식은 전압일 때와 조금 다릅니다.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서 전압은 입사파와 반사파를 더했을 때 투과파였지만, 전류는 입사파에서 반사파를 뺐을 때 투과파가 됩니다. 정리하면 그림 4와 같습니다.
전압 관점에서 임피던스 매칭이 된 경우와 되지 않은 경우를 비교했듯 이번에는 전류 관점에서 비교해 봅니다. 그림 1의 임피던스 매칭이 된 경우 반사계수는 0, 투과계수는 1이므로 부하 저항 RL로 흐르는 전류는 2V/100Ω=20mA가 됩니다. 부하저항이 작은 경우 편의를 위해 0Ω, 부하저항이 큰 경우는 ∞Ω이라고 해봅시다.
그림 5와 같이 부하저항이 0Ω일 때, 전류 관점에서 반사계수는 -1이고, 투과계수는 2가 됩니다. 즉, RL로 흐르는 전류는 40mA가 됩니다. 전압 관점에 보았을 땐 부하저항이 0Ω인 경우 반사계수는 -1, 투과계수는 0이었기 때문에 0V가 출력이 되지만 전류관점에서는 오히려 최대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하저항이 ∞Ω인 경우를 봅니다.
그림 6과 같이 부하저항이 ∞Ω일 때, 전류 관점에서 반사계수는 1이고, 투과계수는 0이 됩니다. 즉, RL로 흐르는 전류는 0mA가 됩니다. 전압 관점에 보았을 땐 부하저항이 ∞Ω인 경우 반사계수는 1, 투과계수는 2이었기 때문에 2V가 출력이 되지만 전류관점에서는 오히려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전력 관점에서는 임피던스 매칭을 했을 경우 가장 큰 효율을 낼 수 있지만 전압 관점에서는 부하저항이 큰 경우가 더 효율이 좋습니다. 그리고 전류 관점에서는 부하저항이 작은 경우가 더 효율이 좋다고 할 수 있죠. 회로에서 전압 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가 크고, 전류 증폭기(Trans-Impedance Amplifier)의 입력 임피던스가 작은 이유 입니다. 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가 부하저항에 해당할테니 입력 임피던스가 크면 전압을 드라이빙하기 용이할테고, 작으면 전류를 드라이빙하기 유리합니다. 여기까지 포스팅을 마칩니다~!
'RF'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RF Sensitivity (수신감도) 쉽게 이해하기 (0) | 2024.04.14 |
---|---|
#25. 고조파(Harmonics) 발생 원인 쉽게 이해하기 (0) | 2024.04.03 |
#24-2. S parameter, Smith chart를 이용하여 매칭하기 (2) | 2024.02.04 |
#24-1. S parameter (S 파라미터) 쉽게 이해해보자 (2) | 2024.01.23 |
#23. dB 스케일을 사용하는 이유? (0) | 2024.01.15 |
#8-1 전송선로란? 임피던스 매칭? (0) | 2023.06.26 |